러브버그 익충, 시기, 퇴치 방역 방법 알아보기

반응형

러브버그는 최근 주위에서 많이 보이는 곤충으로 모양새가 특이하고 무리지어 다니는 경향이 있어 환영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보통은 산쪽에서 많이 볼 수 있었는데 요즈음에는 활동반경이 넗혀져 도심에서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모양은 파리와도 비슷하고 특히 짝짓기를 하는 모습으로 다니고 있어 이름도 러브버그로 붙여진 것 같습니다. 바퀴벌레 또는 파리와 비슷한 생김새와 암수가 짝짓기를 하며 날아다니는 독특하고 기괴한 모습, 그리고 사람들에게 날아드는 습성과 수천~수만 마리가 떼를 지어 다니는 모습은 사람들로 하여금 혐오감을 일으킵니다. 

러브버그 익충
여름철 곤충 러브버그

러브버그는 익충? 활동시기

러브버그는 부정적인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익충으로 볼 수 있는 곤충입니다. 정식 명칭은 붉은등우단털파리입니다. 파리에 속한 곤충은 맞습니다. 이 곤충은 독도 없고 사람을 물지도 않고 병을 옮기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해충으로 분류되지 않는 곤충이며 , 나무와 낙엽을 분해하고 토양을 비옥하게 해주고 꽃의 수분을 촉진시켜주는 익충으로 봅니다.

한반도의 기온이 올라가면서 아열대 기후로 바뀌어 감에 따라 새로운 서식지가 되며 개체수가 급증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반도를 기준으로 6월 중순부터 7월초까지가 주된 활동시기이며 장마를 거치고 난후에는 개체수가 확 줄어들어 잘 보이지 않게 됩니다. 수명은 수컷은 3~4일, 암컷은 7일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사람을 무서워 하지 않고 들러 붙는 습성이 있으며 차량에도 붙어 시야를 흐리게 하여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러브버그
러브버그 떼
아파트 유리창에도 붙는 러브버그

러브버그 퇴치, 방역 방법

러브버그는 년중 여름철 시기에만 활동하며 장마가 지나고 난 이후에는 개체수가 확 줄어들며 사실상 사라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비와 같은 물에 약한 특성이 있습니다.

실내에서 일부러 살충제를 뿌려 없애는 것은 어렵습니다. 살충제 살포로 인체나 반려동물에도 좋지 않기 때문에 그 보다는 자연적으로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것이 나을 것입니다. 평균적으로 7일이내만 살며 여름 한철 1개월 정도만 최고조에 달하기 때문에 이 시기만 지나면 자연적으로 감소됩니다. 들러 붙는 것을 회피하려면 밝은 색 계통의 옷은 피하고 어두운 색상의 옷을 입는 것이 좋습니다. 유리창에 물을 뿌려 놓아도 오지 않습니다. 야외 활동 중이라면 러브버그를 퇴치하기 위하여 해충 퇴치용 제품들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러브버그
러브버그 대처 방법

러브버그는 익충이며 일정 시기가 지나가면 자연적으로 없어지는 곤충이니 모기같은 해충 방역에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